[의학] Blood Culture (혈액배양)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16 19:52
본문
Download : [의학] Blood Culture (혈액배양).hwp
그외에 Sodium citrate 또는 EDTA는 그람 양성균을 억제하며, Heparin은 멸균하면 파괴되므로 좋지않다
4. 혈액배양에서 흔히 검출되는 균
1) Micrococcus, Staphylococcus, Streptococcus, Enterococcus, Pneumococcus, Neisseria meningitidis, Listeria, Anaerobic Cocci
2) Enterobacteriaceae (Salmonella가 대표적) , Haemophilus influenzae , Pseudomonas
3) Francisella tularensis , Brucella , 기타 진균
5. 혈액배양에서 검출되지 않는 균
1) Neisseria gonorrhoeae , Shigella , Corynebacterium diphtheria , Mycobacterium tuberculosis , Clostridium tetani
6. 배양
1) 37 또는 실온에서 최소 2주까지 배양 (Brucella는 34주 배양)
2) 매일 육안적으로 觀察(관찰) 한다
3) 觀察(관찰) 시 배지를 절대 흔들지 않는다
7. 혈액배양의 결과 觀察(관찰)
1) 혈액배양용 배지 전체가 Jelly상으로 Clot되면서 Turbid : Staphylococcus aureus 추정
2) 배지 전체가 Reddish Hemolytic Turbid : -Hemolytic Streptococcus 추정
3) 전체적인 Turbid가 불분명하고 상층부만 투명하면서 Greenish : Streptococcus pneumoniae, Neisseria meningitidis 추정
4) RBC 침전층 위로 솜다발 (Cotton Ball)모양의 집락형성과 상층부의 Clear Ring형성 : -Streptococcus 추정
5) RBC 침전층 위에 균등한 Turbid
Download : [의학] Blood Culture (혈액배양).hwp( 91 )
![[의학]%20Blood%20Culture%20(혈액배양)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5D%20Blood%20Culture%20(%ED%98%88%EC%95%A1%EB%B0%B0%EC%96%91)_hwp_01.gif)
![[의학]%20Blood%20Culture%20(혈액배양)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5D%20Blood%20Culture%20(%ED%98%88%EC%95%A1%EB%B0%B0%EC%96%91)_hwp_02.gif)
[의학] Blood Culture (혈액배양)
[의학] Blood Culture (혈액배양)
순서
[의학],Blood,Culture,(혈액배양),의약보건,레포트
[의학] Blood Culture (혈액배양) , [의학] Blood Culture (혈액배양)의약보건레포트 , [의학] Blood Culture (혈액배양)
설명
- preview를 참고 바랍니다.레포트/의약보건
Blood Culture (혈액배양)
1. 목적
1) 원인(原因)불명의 열성질환을 알아보기 위해서
2) 균혈증 (Bacteremia)이나 패혈증 (Septicemia)의 원인(原因)균을 진단
2. 검체의 채취와 취급
1) 채혈시기
채혈은 발열직전에 하되 예측못한 경우에는 매 30분 간격으로 3회이상 채혈한다발병후 1주정도 경과된 환자의 혈액배양에서 균분리율이 가장 높다
항생제 투여전에 실시한다
이미 항생제를 투여한 환자의 Blood Culture는 세균이 자랄수 있도록 중화제를 배지에 첨가한다
Penicillin 사용환자 : 배지에 Penicillinase 20Unit/를 첨가하여 배양
Sulfonamide 사용환자 : 배지에 PABA (Para Amino Benzoic Acid) 5/L를 첨가하여 배양
기타 약제 사용환자는 그대로 실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