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지스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1-02 07:04
본문
Download : 트랜지스터_149390.hwp
초기에는 잡음·주파수 property(특성)이 나쁘고, 증폭도도 충분하지 못하였으나, 그 후 많이 개량되어 아주 대전력을 다룰 수 있는 등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진공관에 대치되었다. pnp의 경우, 왼쪽단자와 연결된 p층에서 양공(陽孔, hole:격자 질서상 있어야 할 곳에 전자가 없는 상태, 정공이라고도 함)을 중간층(베이스층)에 방출하는데, 이 방출기능으로 해서 왼쪽 부분의…(To be continued )
트랜지스터
순서



트랜지스터
다. transistor 그 자체가 소형이어서 이를 사용하는 기기(機器)는 진공관을 사용할 때에 비하여 소형이 되며, 가볍고 소비전력이 적어 편리하다.
2. 증폭의 원리
transistor는 게르마늄이나 규소(실리콘)의 단결정 소편에 불순물을 첨가하되 불순물의 종류가 p형과 n형이 있기 때문에 pnp의 순서로 3층구조로 만들 때도 있는데, 각 층에서 단자(端子)를 내기 때문에 3단자의 소자이다. 이것이 그 동안 신호증폭의 구실을 해 오던 진공관(眞空管)과 대치되는 transistor의 시초가 된 것이다.
트랜지스터 , 트랜지스터공학기술레포트 ,
설명
,공학기술,레포트
Download : 트랜지스터_149390.hwp( 79 )
레포트/공학기술
1948년 미국 벨전화연구소의 W.H.브래튼, J.바딘 및 W.쇼클리는 반도체 격자구조의 시편(試片)에 가는 도체선을 접촉시켜 주면 전기신호의 증폭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여 이를 transistor라고 명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