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법상 공동정범에 대하여 - 공동정범 연구 (형법 총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26 00:08
본문
Download : 형법상공동정범에대하여.hwp
(대판 1999. 9. 17. 99도2889)
② 공동정범은 행위자 상호간에 범죄행위를 공동으로 한다는 공동가공의 의사를 가지고 범죄를 공동실행하는 경우에 성립하는 것으로서, 여기에서의 공동가공의 의사는 공동행위자 상호간에 있어야 하며 행위자 일방의 가공의사만으로는 공동정범관계가 성립할 수 없다(대판 1985.5.14. 84도2118).
③ 오토바이를 절취하여 오면 그 물건을 사 주겠다고 한 것이 절도죄에 있어 공동정범의 성립을 인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공동가공의 의사가 있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한다(대판 1997.9.30. 97도1940).
④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 제2조 제2항의 `2인 이상이 공동하여`라고 함은 그 수인간에 소위 공범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요건으로 하고, 또 수인이 동일 장소에서 동일 기회에 상호 다른 자의 범행을 인식하고 이를 이용하여 범행을 한 경우임을 요한다.
판례는 공동정범의 의미에 관하여 공동정범이 성립하기 위하여는 주관적 요건으로서 공동가공의 의사와 객관적 요건으로서 공동의사에 의한 기능적 행위지배를 통한 범죄의 실행사실이 필요한바, 위 주관적 요건으로서 공동가공의 의사는 타인의 범행을 인식하면서도 이를 저지하지 아니하고 용인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공동의 의사로 특정한 범죄행위를 하기 위하여 일체가 되어 서로 다른 사람의 행위를 이용하여 자기의 의사를 실행에 옮기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것이어야 한다고 판시한 바 있다
(대판 1…(drop)
2. 공동정범과 종범의 구별
(1) 공동범행의사
① 공동정범이 성립하기 위한 주관적 요건으로서 공동가공의 의사는 타인의 범행을 인식하면서도 이를 제지하지 아니하고 용인하는 것만으로 부족하고, 공동의 의사로 특정한 범죄행위를 하기 위하여 일체가 되어 서로 다른 사람의 행위를 이용하여 자기의 의사를 옮기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것이어야 한다.(대판 2000. 4. 7. 2000도576)
1) 공모공동정범
형법상 공동정범에 대하여 , 형법상 공동정범에 대하여 - 공동정범 연구 (형법 총론)법학행정레포트 , 형법상 공동정범에 대하여 - 공동정범 연구 (형법 총론)






설명
형법상,공동정범에,대하여,-,공동정범,연구,(형법,총론),법학행정,레포트
레포트/법학행정
형법상 공동정범에 대하여 - 공동정범 연구 (형법 총론)
다. (대판 2000. 2. 25. 99도4305)
⑤ 전자제품 등을 밀수입해 올테니 이를 팔아달라는 제의를 받고 승낙한 경우, 그 승낙은 물품을 밀수입해 오면 이를 취득하거나 그 매각알선을 하겠다는 의사표시로 볼 수 있을 뿐 밀수입 범행을 공동으로 하겠다는 공모의 의사를 표시한 것으로는 볼 수 없다.
공동정범 연구 (형법 총론)
* 관련 법규 형법 제30조(공동정범)
‘2인 이상이 공동하여 죄를 범한 때에는 각자를 그 죄의 정범으로 처벌한다.’
Ⅰ. 서설
1. 의의공동정범이란 2인 이상이 공동의 범행계획에 따라 각자 실행의 단계에서 본질적인 역할 분담으로써 성립하는 정범형태(제30조)를 말한다.
형법상 공동정범에 대하여
Download : 형법상공동정범에대하여.hwp( 29 )
순서
-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