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의료사회사업의 실천과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8 19:57
본문
Download : 정신의료사회사업의 실천과정_1117597.hwp
개개인의 진단은 다음과 같은 양식으로 체계화 할 수 있다
(1)환자의 문제에 대한 요약
①성격적 특징과 인간관계의 태도를 포함하는 환자의 전반 적인 정동장애
②정의(定義) 과 지각활동, 사고의식 및 주의력 등을 포함하는 심리적 장애
③정서장애
④생리적 즉 신체적 장애
(2)과거력 및 각종검사-내과적 ,신경과적 또는 심리학적 검사를 통해 밝혀진 유전적. 체질적. 가정적 및 주의environment(환경) 으로부터의 影響(영향)을 받는 요소들.
(3)정신역동학적 설명(說明)-환자들의 문제를 야기 시키는 데 있어서 직접 관련성을 갖고 있는 原因적 .체질적 요소와 또한 그들의 인격발달에 影響(영향)을 주었을 가정적 또는 environment(환경) 적인 影響(영향)을 기술하게 된다
(4)진단분류
(5)치료계획-가장 效果(효과)적인 치료방법, 보조적인 치료방법의 필요성(必要性) 여부, 또 사회사업가가 맡아야 할 임무의 여하 등에 관한 간결한 서술을 하게 된다 또한 입원치료냐 아니면 외래치료냐의 여부, 진단서의 필요성(必要性) 여부, 환자가 자기 개인적인 문제나 재산관리를 할 수 없을 정도로 장애가 있을 경우 후견인의 선정문제 여부도 기록한다. 정신과적 면담은 대개 정신병리와 정신역동을 이해하기 위해 행해진다. 선입견이나 편견 없이 진실한 관심으로 환자를 대하며 환자의 입장에서 환자와 공감할 수 있어야 한다.
(6)전이관계성-환자의 과거력 파악에서 전이관계성이 확인되었을 경우 환자가 의사에게 나타낼 가능성이 있는 반복적이며 특징적인 태도의 양상을 기록하게 된다
(7)예후에 대한 기록
환자의 문제가 어느 정도까지 시정이 가능할 것 같은지, 또는 어떤 치료방법에 의해서 그런 것이 가능할 것인지에 대한 견해 을 기록한다. 인상적인 진단을 내려야 한다.
순서
Download : 정신의료사회사업의 실천과정_1117597.hwp( 75 )
정신의료사회사업의 실천과정
설명
정신의료사회사업의실천과정 , 정신의료사회사업의 실천과정의약보건레포트 ,
정신의료사회사업의실천과정






Ⅰ. 정신장애자의 면담
Ⅱ. 정신역동적 면접
Ⅲ. 정신장애자의 검사
Ⅰ. 정신장애자의 면담
1. 정신과적 진찰
정신과의사는 정신과적 진찰을 위해 정신과적 면담을 실시한다.
2. 개인력 …(skip)
,의약보건,레포트
레포트/의약보건
다. 이는 포괄적인 정신장애 진단을 위해서 필요한 것이며, 의사는 환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질환의 양상, 증상의 특징과 그 原因을 밝히고 이들 환자의 인격과 life(인생) 사와의 관계를 이해해야 한다.